문건에 나타난 ‘MB 세종시’의 불편한 진실 ”원안대로 해도 삼성, 한화 온다” |
![]() |
문건은 “박근혜 전 대표가 차기 대권구도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확보한 상황에서 친이계가 당권을 지속적으로 장악할 수 있는 당내 기반 확보”를 강조했다. 이를 위해 “친박계의 포섭 및 견제”를 강조하면서 그 방안으로 “상징성 높은 원내대표에 친박계 핵심인사 배치”를 제안했다. 대신 “대통령의 의지를 실현할 MB직계의 당 장악 및 친박계 견제가 가능한 구조 정립”을 조건으로 걸었다. 이어 그 적임자로 ‘김무성’을 지목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았다. “친박계의 핵심을 상징성 높은 자리에 배치함으로써 대통령 지지층 복원의 레버리지로 활용 필요. 1·19개각시 ‘거국내각’ 컨셉이 활성화되지 않아, 경제팀 교체에도 불구하고 소기의 지지도 상승효과를 거두는 데 한계가 있었음. 4월 재·보선 참패로 ‘박근혜 포용’ 이미지를 한나라당 지지층에게 반드시 전달해야 하고, 그 현실적 수단은 김무성 원내대표 안이 거의 유일함.” 그런데 이 문건이 전달된 지 5일 뒤인 5월6일 이명박 대통령과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는 실제로 청와대 조찬회동에서 “김무성 원내대표 추대에 공감대를 이뤘다”고 깜짝 발표했다. 그러나 미국 체류 중이던 박근혜 전 대표가 이를 거부하면서 김무성 원내대표 카드는 무산됐다. 문건은 대통령실 개편의 필요성과 그 방안을 제안했는데 수석비서관을 포괄지휘하는 선임수석급인 정책상황실장 설치, 대변인실과 홍보기획관실을 통합한 홍보수석실 신설 등을 제안했는데 8월31일 이명박 대통령은 대통령실 개편을 단행했다. ‘정책상황실장’이 ‘정책실장’으로 직함이 달라진 것 외에는 문건이 제안한 내용 그대로 개편됐다.
김무성, BH개편, 정운찬, 親서민… 문건은 또한 이번 세종시 수정의 발화점이 된 정운찬 총리 발탁을 제안한다. “고소영 강부자 이미지 탈피 및 반부패 사회개혁 추진을 위한 정당성 확보 차원에서 이명박 정부의 얼굴인 총리를 청렴한 인사로 임명 필요. 사회개혁을 주도하는 데 문제가 없는 인물. 우경화된 정부의 이미지 탈색을 위해, 상대적으로 진보인사 임명 필요.” 이어 문건은 “새로운 차기 대선주자를 부각시키는 기회로 활용할지 여부는 정치적 결단이 필요하다”면서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또는 신인령 전 이대 총장이 요건에 부합”이라고 했다. 9월3일 이명박 대통령은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을 총리 후보로 지명했다. 문건이 제안한 ‘친(親)서민’ ‘사회통합 정체성 강화’ 노선은 2009년 중반기 이후 이명박 정부의 주된 국정기조로 받아들여졌다. 마지막으로 현 여권 주류가 궁극적으로 박근혜 전 대표 측과 민주당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에 대해 조언했다. 문건은 “시대정신에 부합하는 노선, 정책을 정립함으로써 친박계와 민주당의 고립화 유도”라고 했다. 세종시 수정 승부수는 정책으로서 정적(政敵)을 고립화하려는 이러한 전략의 연장선일까.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