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대량해고 사태에 이은 노사협상 결렬, 노조원 강제해산 등 숨가쁘게 진행돼온 이랜드 사태가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 이석행 민주노총 위원장이 23일 오전 민주노총 1층 기자회견실에서 공권력 투입과 반노동 이랜드기업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이랜드자본 퇴출을 위한 불매운동을 강화, 매출제로 집중투쟁을 전개할 것을 선언하고 있다.
(사진=민주노총)
갈등만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민주노총이 이랜드 사측의 비정규직 해고와 정부의 농성 조합원 강제해산을 규탄하며 이랜드에 대한 전면적인 투쟁에 들어갈 것을 선언했다. 노사간 양보 없는 이랜드 사태가 전면전으로 치다고 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은 23일 영등포 민주노총 기자회견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 달간 전국 이랜드 유통매장을 대상으로 집중규탄투쟁을 전개할 것을 결의한다”고 선포했다. 이를 위해 민주노총은 "오는 29일까지 1차 집중투쟁기간을 설정하고 지역본부별로 최소 1곳 이상을 선정해 규탄투쟁을 진행키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현재 총연맹, 해당 연맹, 해당 단위노조 차원의 상황실 체계를 이날부터 가맹산하조직 전체로 확대 운영하고 아침 8시~밤 10시를 기본으로, 필요시에는 24시간 상황대기 체계를 가동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이랜드 계열사에 대한 불매운동(캠페인, 선전전, 1천원짜리 물건사고 카드결재 후 반환하기 등)을 강화하기로 했다. 기자회견을 마친 뒤 오후 2시께 이랜드 주거래 은행인 우리은행 본사에 금융거래 중지을 요구하는 한편 청와대 항의방문도 예정돼 있다. 또 국세청조사촉구, 교원공제 항의방문 및 공정거래위원회 재심의 촉구 등의 사업도 병행할 예정이다.
이석행 민노총 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노조를 인정하지 않는 기업이나 반사회적 자본기업에 대해서는 더이상 이 땅에서 기업 활동을 할 수 없도록 할 것"이라며 "매출제로 투쟁을 조직적으로 출기차게 전개해 나갈 것을 선포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의 투쟁은 사회적 약자에게 모든 고통을 뒤집어 씌우려는 노무현 정부와 자본에 대항하는 정의의 투쟁”이라고 지적한 뒤 "880만 비정규노동자의 절박한 요구와 분노가 폭발된 투쟁으로 이랜드자본에 대한 무자비한 타격이 파상적으로 전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민주노총은 오는 24일 '이랜드·뉴코아 여성비정규노동자 해고철회 및 노무현정권 규탄, 비정규악법 전면재개정 촉구대회'에 이어 27일 '비정규노동자 대량해고 이랜드·뉴코아 규탄 민주노총 총력결의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